Surprise Me!

[조간 브리핑] 사적 제재 영상 올려 월 4,000만 원 돈벌이...피해자 보호는 없다 / YTN

2024-06-09 0 Dailymotion

6월 10일 월요일, 조간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경향신문입니다. <br /> <br />소 키우는 농가들이 집회를 벌이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. '반납 집회'라고 이름이 붙여져 있는데요. 키울수록 빚만 생기니까 정부가 키우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. 집회는 다음 달 초로 예정했는데 실제로 열리면 2012년 이후 12년 만에 열리는 것입니다. 당시엔 청와대와 기재부 인근에서 소 떼를 몰고 와 반납하는 퍼포먼스를 하려다가 무산됐습니다. 소고기, 특히 한우는 선뜻 사먹기 힘들죠. 최근 소비가 위축되면서 더 그럴 텐데, 반대로 소 도축은 크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. 수요는 줄고 공급은 늘어나니까 당연히 가격 떨어지겠죠. 농촌경제연구원이 한우 수급단계를 구분하는데 올해와 내년의 단계를 가장 불안정한 심각으로 상향했습니다. 구체적인 데이터로 볼까요. 한 마리 키워서 생기는 손실이 무려 142만 원입니다. 작년이랑 비교하면 두 배 수준으로 늘어났습니다. 애지중지 키워서 팔아도 손해를 보는 기형적 구조다 보니 농가 마음이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. 정부가 축산법 개정을 통해 한우 산업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집회가 열리기 전에 지원책이 나올지 지켜봐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조선일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생성형 AI, 요즘 못 만드는 게 없죠. 설마 이것까지 될까 했는데 그 어려운 걸 해내고 있고 논문도 그중 하나인데 학계가 AI발 '저질 논문'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내용입니다. 신문이 한 사례를 설명하는데 재미있습니다. 한 세계적 학술 출판사 학술지에 올라갔던 논문이 삭제됐던 일이 있었습니다. 그 논문 결론 부분에 이런 표현이 있었다고 합니다. "미안하지만 나는 ai 언어 모델이기 때문에..." 이걸 쓴 사람이 이른바 '복붙' 했다는 얘기겠죠. 이런 비슷한 사례들이 얼마나 될까요. 컴퓨터과학 분야를 분석한 연구팀이 있습니다. 챗GPT 출시 이전에는 2.5%였는데, 이젠 17.5%나 된다고 합니다. AI를 사용한 저질 논문이 잇따르면서 발표 후 철회된 논문이 지난해에 1만 건이 넘었습니다. 생성형 AI가 출시된 이후 급격하게 늘어난 걸 볼 수가 있죠. AI를 저자로는 인정하지 않는 학계지만 AI를 아예 쓰지 말라는 건 아닙니다. 활용은 괜찮지만, AI를 쓴다는 걸 연구 방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원칙을 정했습니다. AI가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는 만큼, 과학계의 신뢰성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학계 지적도 신문은 함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채운 (jcw17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61007182152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